
감염관리
요양병원은 장기요양 환자의 비중이 높아 감염관리가 특히 더 중요합니다.
☎ 감염관리실 전화번호 : 063-840-7085
매주 1회 병원 순회를 실시
감염관리전담자가 감염으로부터 안전한 병원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매주 1회 각 부서 감염 관리 상태를 점검합니다.
면회 관리를 시행
면회시 체온 측정, 호흡기 증상 유무 확인, 방문객 기록지를 작성하는 등 면회 관리를 시행합니다.
손 위생 철저
손위생은 병원균의 전파를 감소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감염예방법으로 전 직원이 손위생 수행에 앞장서 적극적으로 감염관리에 임하고 있습니다.
철저한 소독관리
미소요양병원은 매일 철저한 소독관리를 수행하여 환자와 보호자 모두 안전한 환경에서 치료에 임할 수 있도록 합니다.
감염관리위원회 회의
감염관리실에서는 감염 감시를 통한 유행 발생을 조기 인지하여 원인을 확인하고 감염관리 대책을 마련하여 감염병 전파를 예방하는 등 정부의 관리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습니다.

격리병동
다른 환자와 별도로 격리하여 치료할 필요가 있는 환자를 수용하여 치료하도록 만들어 놓은 병동
격리병동 입원 대상자
-
2급 감염병
- VRSA(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)
- CRE(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속균)
-
4급 감염병
- VRE(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)
- MRSA(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)
- CRAB(카바페넴 내성 아시토네박터 바우마니균)
- MRPA(다재내성 녹농균)
- MRAB(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)
격리병동 관리방법
-
01
환자와 접촉하기 전 후에 물과 비누 또는 알코올 손소독제를 사용하여 손위생 시행
-
02
병실에 들어가기 전 장갑, 가운, 마스크 등 착용(1회용 물품사용)
-
03
필요시 1인 격리실로 격리 또는 코호트 격리 시행
-
04
격리 병실내 의료용품(혈압계, 체온계) 구별하여 사용
-
05
병실 내 화장실 사용
-
06
격리병실에서 나오기 전 장갑과 가운 탈의 및 손위생 시행
CRE와 VRE 의 차이점
구 분 | CRE | VRE |
---|---|---|
정 의 | 카바페넴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장내세균속균증 |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으로 반코마이신을 포함한 glycopeptide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장알균으로 인한 감염증 |
감염경로 | CRE 감염증 환자 또는 병원체 보유자와의 접촉하거나 물품으로 전파 | 건강한 정상인에서 감염을 일으키지 않으나 노인, 면역저하 환자, 만성기저질환자, 병원에 입원중인 환자에게서 침습적인 시술이나 수술 등을 통해 감염을 유발 할 수 있음 |
위험요인 | 인공호흡장치, 중심정맥관, 도뇨관을 사용하고 있거나 외과적 상처가 있는 중환자는 감염위험이 높음 | 감염부위에 따라 각종 기회 감염증을 일으키며 요로감염, 창상감염, 균혈증등 감염 종류에 따라 증상이 다양 |
치료방법 | 격리병동에서 치료를 하며 환자의 상태를 계속 체크하여 상태에 맞는 항생제를 처방 | 격리병동에서 치료를 하며 환자의 상태를 계속 체크하여 상태에 맞는 항생제를 처방 |